AI 기초지식 2

Anomaly Detection

Anomaly Detection이란 이상탐지 task 이다. 이상탐지란? 말 그대로 이상치(outlier)를 탐지하는 task 라는 뜻이다. 처음에 이 개념을 접했을 때는 이상치를 어떻게 탐지한다는 거지? 정답이랑 정답이 아닌 걸 학습시키나 어떻게 한다는 거지? 이런 생각을 했었는데 이 질문은 이상치 탐지보다 지도 학습에 가까운 접근이었다. Anomaly Detection(이상 탐지)는 Gaussian Distribution을 사용한다. Gaussian Distribution은 종 모양의 분포를 말하는데 아래 모양처럼 생겼다. 딱 저 분포를 보면 평균인 u에 가장 데이터들이 많고 양 끝으로 갈수록 데이터가 적어진다. Anomaly detection에서는 주로 정상적인 많은 데이터, 비정상적인 특이한 적은..

AI 기초지식 2023.12.13

지도 학습 vs. 비지도 학습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과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은 개인적으로 많이 헷갈렸던 개념이었다. Supervisor? 감독자? 감독이 있고 없는 게 차이인건가? 별별 생각을 다 했는데 알고보니 이 둘의 차이는 data가 있을 때 정답 라벨이 있냐 없냐의 차이였다. 사실은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다. AI뿐만 아니라 모든 방법론은 How에서 시작하는 게 아니다. "무엇"을 해결할 것인가? 여기서 시작한다. 그러면 여기서의 무엇은 Data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어 있다. 내가 AI에게 데이터를 학습시켜서 얻고자 하는 방식이 딱딱 떨어지는가? 정답이 있고 AI가 맞고 틀리고가 명확한가? 이 때 쓰는 게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이다. 반대로 딱딱 ..

AI 기초지식 2023.12.13